1교시
1. 관계의 기술
- 같은 말이라도 누가 했느냐에 따라 그 말에 대한 평가가 달라진다. -> "감정전이" 현상
영향력 --> 설득력--> 자존감
Digital Specialist : 본질적 가치 - 원래 내가 해야 하는 일
"기본"에 대한 관점이 다르므로, 타인이 새애각하는 나의 본질적 가치에 대해 의문을 가져야 함.
Analog Specialist : 관계의 기술
웬지 웬지 그냥 ~해. --> 관계기술적 능력
상대에게 불쾌한 자극을 주지 않도록 -> 지속되면 중뇌, 대뇌 활동 x
--> 편도만 장악해서 보자마자 짜증
낮고 길고 부드러운 목소리 ---> 긍정적인 Stroke
T stop : 하던일을 멈추고(stop) T나게 반응해라
2. 논리의 기술
시작 -> 진행 -> 마무리
(No 아닌 No) (효율성) (피드백)
-> 거절의 방법
ㄱ. 시작 : No 아닌 No
인정->거절->대안제시 (+@) : 룰을 지키면서도 상대방을 존중
업무협조 -> 요청 시 업무추진 배경 및 목적을 밝힌다 --> 내용정리 메일 후 전화로 확인
ㄴ. 진행 : 리피트 기법 -> 상대의 말의 요점을 다시 반복
결론 먼저. 나머지는 짧게.
3가지 이상의 카테고리는 말하지 말아라.
- 진행 상황 수시로 전달 -> 내용의 착오 방지
ㄷ. 전략 : 피드백 --> 상대를 위한, 나를 위한
--> 업무 종결 후
- 상대에 대한 칭찬, 감사의 표현
- 나를 위한 '정리'
2교시 : 다 양 성
- 사람간 다른 점을 찾기가 더 쉽다 -> 기본적으로 '다른'사람들과 살고 있다.
-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
- 내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문제가 있다.
*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함.
인간이 미래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일한 사실은 '달라진다는 것' 뿐.(-피터드러거-)
The only thing we know about the future is that it is going to be different.
- 미래는 변하므로. 다양한 무형자산으로 변화에 대비해야.
- 다양성의 효과(목표가 분명해야) -> 비용절감, 자원획득, 마케팅, 창의성, 문제해결력, 조직유연성
- 다양성이 꼭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안됨. (1+1은 2가 아니라 3이라는 기대를 해서는 안됨)
* 어떤식으로 다양성에 접근하는지가 중요.
개인의 성향을 보존한 채 성과를 낼 수 있다. 심지어 다양한 소속을 유지하기도.
"이해해는 근본적으로 양보가 필요하다. -> 그럼 누가 양보할 것인가?"
- 능력있는 개인들의 집단보다 다양한 집단이 더 낫다.
Diversity Trumps Ability Theorem (Page, 2007)
Necessarity
- 해결할 문제가 어려워야
- 사람들은 기본적 능력은 갖추고 있어야
- 사람들은 다양해야 한다.
- 집단의 규모가 어느정도 커야 한다.
- 마음을 열고 -> 생각을 버리고 -> 선입견을 줄이고 -> 행동을 해라.
- "선입견을 없애고 객관적인 생각을 하여 다양한 집단을 포용해라."
(Celebrate Tolerance But not discriminate)
3교시 : 스피드 경영과 기업문화
- 어떻게 사는지는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됨
- 법지, 재산권, 작은 정부, 통화 안정 , 자유무역 : 경제자유의 5가지 요소
- 경제적 자유 : 싱가폴, 홍콩 -> 경제적 자유 최고
- 정치적 자유 : 필리핀, 아르헨티나 --> 아직도 쿠데타 (정치적 자유 but 경제적 자유 없음)
- 재산권의 유무에 따라 극단적으로 달라짐
- 대한민국 자영업 - 지나치게 많음 -> 퇴직금 투자 사업 말려라.
- 일자리는 노동시장의 유연화, 개방화.. 를 통해 많아진다.
현대자동차가 도요타를 제치지 못하는건 노조떄문..?
- 콜롬버스 ; 절벽일지 모르는 바다 끝까지 항해하는 도전정신 -> 기업가의 도전정신
- 기업가 정신 --> "창조적 파괴" (현재 일자리를 지켜야 한다 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.)
조직활성화를 위한 구성원간의 신뢰 형상
인간관계의 문제해결 방법
1. 상황을 바꿔버린다 --> 이혼, 이적, 이사 등 --> 좋지 않은 방법.
2. 그 사람을 변화시킨다 --> 어렵다. 반항심
3. 자신을 변화시킨다. --> 웬만하면 가장 좋은 방법
--> What should I change to making good relationship?
ㄱ. 세상의 변화 check.
ㄴ. 내가 어떻게 변해가야 할 것인가 check.
ㄷ. Do it.
혁신의 이유
- 글로벌 시장 -> 경쟁의 격화
- 경영자의 근로자에 대한 태도 변화
- 단순 노동자 -> 지식 근로자
"우리는 지식 근로자다"
동행 - 함께하는 우리
1. 상대를 인정해주고 관심을 가지자. (존중/ 배려 / 칭찬)
2. 긍정적 접촉 --> 더 많이
3. 신체적 접촉 / 정신적 접촉
*뭐든 이론은 쉽다. 실행이 어렵다.
존재가치를 인정
존재 가치에 대한 인정
정체성 구성요소에 대한 인정
마음 알아주기 : 공감반응, 상대기면, 알아주기
태도, 능력에 대한 인정
'Scribb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발자국 (0) | 2014.11.24 |
---|---|
부모님을 뵈면 (0) | 2014.09.28 |
Happiness (0) | 2013.04.22 |
Present as a present (0) | 2013.04.22 |
생각하기를 멈추는것. (0) | 2013.04.22 |